본문 바로가기
📈 재테크

경제 초보라도 반드시 알아야 할 필수 경제용어들 정리(이 정도는 알아야 어디가서 무시 안 당합니다)

by 재거니 2025. 3. 8.

화폐들 모음 이미지

 

요즘 2030세대를 비롯한 많은 사람들이 경제적 독립을 이루고 자산을 형성해 나가는 중요한 시기를 보내고 있습니다. 하지만 경제 흐름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면 자산 관리와 투자에서 손해를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필수적인 경제용어들을 익혀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경제 초보라도 반드시 알아야 할 주요 경제용어들을 쉽고 친절하게 설명하겠습니다.

1. 금융 및 투자 관련 용어

1) 복리(Compound Interest)

복리는 투자 원금뿐만 아니라 발생한 이자에도 다시 이자가 붙는 방식입니다. 장기적으로 보면 복리 효과는 투자 수익을 극대화하는 핵심 요소가 됩니다.

  • 예: 1,000만 원을 연 5% 복리로 투자하면 10년 후 약 1,629만 원이 됩니다.
  • 반면 단리는 매년 같은 이자만 지급되므로 복리보다 최종 수익이 낮습니다.

2) ETF(Exchange Traded Fund, 상장지수펀드)

ETF는 주식처럼 거래되는 펀드로, 특정 지수(S&P 500, 코스피 200 등)를 추종하는 상품입니다.

  • 분산 투자 효과가 있어 개별 종목보다 리스크가 낮음
  • 초보 투자자가 접근하기 좋은 투자 수단

3) PER(Price Earnings Ratio, 주가수익비율)

주가를 주당 순이익(EPS)으로 나눈 값으로, 기업이 얼마나 높은 가치를 평가받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 PER이 낮을수록 저평가, 높을수록 고평가된 주식일 가능성이 있음
  • 단, 산업별로 PER 기준이 다를 수 있음

4) PBR(Price to Book Ratio, 주가순자산비율)

주가를 주당 순자산(BPS)으로 나눈 값으로, 기업의 자산 대비 주가 수준을 나타냅니다.

  • PBR이 1 미만이면 해당 기업의 주가가 순자산보다 낮다는 의미로, 저평가 가능성이 있음
  • PER과 함께 분석하면 투자 판단에 유용

2. 경제 및 금융시장 관련 용어

1) 기준금리(Base Rate)

중앙은행(한국은행, 미 연준 등)이 시중은행에 적용하는 금리로, 경제 정책의 핵심 도구입니다.

  • 기준금리가 오르면 대출 이자가 높아지고, 소비와 투자가 줄어듦
  • 기준금리가 내리면 대출 이자가 낮아져 소비와 투자가 증가

2) 인플레이션(Inflation) & 디플레이션(Deflation)

인플레이션은 물가가 상승하는 현상이며, 디플레이션은 물가가 하락하는 현상입니다.

  • 적정한 인플레이션(연 2~3%)은 경제 성장에 긍정적
  • 지나친 인플레이션은 구매력 감소를 초래하고, 디플레이션은 경기 침체를 유발할 수 있음

3) 스태그플레이션(Stagflation)

경기 침체와 인플레이션이 동시에 발생하는 상황을 의미합니다.

  • 경제 성장은 둔화되는데 물가는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문제 발생
  • 1970년대 오일 쇼크 이후 대표적인 스태그플레이션 사례가 있음

4) 양적완화(QE, Quantitative Easing)

중앙은행이 시중에 직접 자금을 공급하여 경기 부양을 시도하는 정책입니다.

  • 경기 침체 시 적극적으로 사용되는 통화정책
  • 자산 가격(주식, 부동산 등)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음

3. 부동산 및 자산 관리 관련 용어

1) DSR(Debt Service Ratio,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개인의 총소득 대비 전체 금융부채의 원리금 상환액 비율을 뜻합니다.

  • DSR이 40%를 초과하면 대출 한도가 제한될 수 있음
  • 최근 부동산 대출 규제 강화로 중요한 지표가 됨

2) LTV(Loan To Value, 주택담보대출비율)

부동산을 담보로 대출받을 때 적용되는 담보 비율입니다.

  • LTV 60%라면 10억 원짜리 주택에 대해 최대 6억 원까지 대출 가능
  • 정부 정책에 따라 LTV 규제가 변화할 수 있음

3) 전세자금대출 & 주택담보대출

부동산을 매매하거나 전세로 거주할 때 활용되는 대표적인 대출 방식입니다.

  • 전세자금대출: 전세 보증금을 마련하기 위한 대출
  • 주택담보대출: 주택을 담보로 하여 받는 대출로, LTV 비율이 적용됨

4. 가상자산(코인) 및 디지털 경제 관련 용어

1) 블록체인(Blockchain)

중앙 서버 없이 거래 정보를 분산 저장하는 기술로, 비트코인 등 가상자산의 핵심 기술입니다.

2) 디파이(DeFi, Decentralized Finance)

중앙 기관 없이 블록체인 기반으로 운영되는 금융 시스템을 의미합니다.

  • 예: 탈중앙화 거래소(DEX), 스테이킹, 렌딩 플랫폼 등

3) CBDC(Central Bank Digital Currency)

중앙은행이 발행하는 디지털 화폐로, 법정 화폐의 디지털 버전입니다.

결론

요즘 시대에는 경제를 이해하고 적절한 투자와 자산 관리를 해야 하는 중요한 시기를 맞이하고 있습니다. 기본적인 경제 용어들을 익혀두면 금융시장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지고, 보다 현명한 재무 결정을 내릴 수 있습니다. 위에서 소개한 필수 경제 용어들을 숙지하고, 실생활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해보시길 바랍니다.